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광복절 입니다. 8월 15일

카테고리 없음

by 노솔루션 2016. 8. 15. 12:28

본문

광복이라는 말은 글자 그대로 ‘빛을 되찾는다’는 의미이지만 한국인들에게 있어서 그것은 일제에 의해서 나라를 빼앗기고 식민지통치를 받고 있는 상태는 곧 암흑이라는 인식에 대한 대치관념으로 통해왔다. 따라서, 광복은 나라를 되찾고 스스로를 다스리는 국가가 있는 본래의 상태로 되돌아오는 것을 의미한다.

광복이라는 관념은 우리가 일제에 의해서 강요당한 식민지화 과정이라는 민족적 모순에 대한 반제()로서 발생한 것이다. 그러므로 이 말은 20세기 초엽, 조선의 마지막 국가였던 대한제국이 붕괴되기 시작할 때부터 시작해서 1910년 결정적으로 국권을 빼앗기고 그 뒤 1945년 8월 15일 일제가 제2차세계대전에서 패하여 우리가 해방되었던 날까지의 시대에 대해서만 고유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반일민족독립운동의 사상과 운동을 포괄하는 관념이다.


이와 같이 광복이라는 말은 논리적인 개념으로 정립되어온 어휘라기보다는 국권을 회복하였다는 의식을 표현하고 있다. 말하자면 민족독립의식이며, 국권회복의식이며, 자주의식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복합적 민족의식은 시대와 객관적 조건의 변화와 더불어 그 내용도 달라진다. 때문에 20세기 초엽부터 광복될 때까지 약 반세기 동안의 광복의식의 변화는 당연히 이에 따른 행동의 변화를 초래하게 되었다.


역사적으로 그 변화의 양상을 요약해서 말한다면, 19세기 말에는 무너져가는 국가의 재건을 목적으로 한 애국계몽운동과 독립협회운동 등이 있었고, 그 뒤 의병운동과 같은 반침략호국운동이 있었으며, 1910년의 강제합병 이후에는 대한제국의 부활을 목적으로 한 복벽운동()도 있었다. 이 복벽운동은 왕권국가 회복운동의 성격을 가졌다.

이때까지는 국권회복이란 왕권국가의 재기·연속을 의미했기 때문에 국권회복이라는 개념 속에 국체의 근대화문제는 아직 의식되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1919년 3·1운동이 일어난 이후부터는 한국인의 정치의식 속에서 ‘광복=왕권국가회복’이라는 의식이 종국적으로 청산되었고, 광복과 더불어 우리가 가져야 할 나라, 즉 정권형태나 정치·사회제도를 현대 정치사상에 입각해서 생각하게 되었다.

광복운동의 역사는 곧 이러한 현대 정치사상, 다시 말해서 시민적 민족주의사상 및 사회주의·공산주의 사상과 운동의 역사라 할 수 있다.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우리 모두 잊지 말고 다시는 이런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입니다.


전 세계의 국기를 모아놓고 보면 유독 형태가 독특한 것들이 몇 가지 있는데 태극기도 그 중 하나다태극무늬와 4어린 시절 미술시간에 태극기를 그리면서 우리나라 국기는 왜 이리 복잡하고 어려운지 한번쯤 푸념을 해본 이들도 있을 것이다태극무늬를 나누는 곡선은 어떻게 그려야 하는지 4괘의 배열은 무엇이 맞는 건지 어렵기만 하다그러나 그 안에 담긴 오묘한 진리를 떠올려본다면 태극기를 다르게 볼 수 있을 것이다.

태극기의 흰색 바탕은 백의민족으로 불리는 우리 민족 그 자체이며 평화를 사랑하는 마음을 담고 있다중앙의 태극’ 도형은 우주 만물의 기본을 이루는 음양을 뜻하며 서로 다른 것들이 부드럽게 조화를 이루고 융합하는 것을 의미한다모서리의 4괘는 건곤감리(乾坤坎離)로 변화해가는 우주의 모습을 상징하는데 자연현상으로 설명하면 건은 하늘곤은 땅감은 물(), 리는 불()이다
 
한 나라의 국기에는 그 나라의 역사와 정신이 담겨 있다어떤 국기에는 혁명의 정신이 있고어떤 국기에는 국가의 성립배경이 있다독립운동을 통해 우리나라의 국기로 받아들여진 태극기에는 평화를 염원하는 마음과 만물의 조화라는 본래의 의미 외에도 저항의 역사가 흐르고 있다손으로 그려서든목각판에 새겨서든 혹은 일장기 위에 덧칠을 해서든 압제하에서 몰래 만들어 품었던 제각각 다른 태극기에는 조국의 독립이라는 단 하나의 열망이 있었다어두운 오늘을 내일의 후손에게 물려주지 않겠다는 굳은 결의가 있었다태극기는 그렇게 살아남았고그렇기 때문에 우리의 가슴을 뜨겁게 한다.





관련글 더보기